안녕하세요, 돈무새 롱찌입니다.
오늘은 내 집 마련을 위해 필수인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대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부동산 가격의 급등으로 정부가 앞으로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 대책으로 만들어낼
신규 공급 아파트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 되고, 이를 분양받기 위해서는
청약통장이 필수적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이 무엇인가?
아파트를 분양 받으려면 있어야 하는 자격 '서류' 같은 존재입니다.
종합저축은 공공아파트와 민영아파트 모두를 청약할 수 있습니다.
1인 1계좌 개설을 원칙으로, 매 월 약정된 날에 일정한 금액을 납입하는 적금식 통장입니다.
국민주택청약의 경우 저축 총액을 따질 때 1회에 10만원 까지만 인정됩니다.
이자는 2년 이상 납입 시 일반적으로 1.8%이고,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1.5%를 더한 이자로 3.3%입니다.
납입 금액은 매 월 2~50만원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 7000만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는 연 24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하므로 여유가 있는 분은
매월 20만원씩 적금 넣듯이 저축하셔도 좋아요.
국민주택
나라에서 주거 안정을 위해서 국가가 건설하는 85㎡ 이하의 주택을 말합니다.
지방 공사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 SH(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건설하는 주택입니다.
공공 분양과 임대가 가능합니다.
자세한 청약 일정은 LH 청약센터 어플, 서울 SH 주택공사 블로그로 확인하세요!
공공주택 우선순위 요건 : 저축 총액, 납입 횟수
1. 전용면적 40㎡ 초과 : 3년 이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 + 저축 총액이 많은 사람
2. 전용면적 40㎡ 이하 : 3년 이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 + 납입 횟수가 많은 사람
민영주택
민간 건설사들이 건설하는 아파트 (자이, 롯데캐슬 등 브랜드 아파트)를 말합니다.
민간분양과 임대가 가능합니다.
민영 주택은 입주자 모집공고 이전까지만 예치금에 나머지 잔액을 일시불로 넣을 수 있습니다.
가점 확인은 APT2you어플 또는 한국 부동산원 청약 홈 Applyhome에서 확인하세요!
민영주택 우선순위 요건 : 저축 총액(예치금), 가점제도와 추천제도
무주택 기간(0~15년), 부양 가족(0~6명), 청약통장 가입기간(0~15년)에 따라 점수를 차등 부여합니다.
따라서 가입을 빨리 하는것이 유리합니다.
전용면적 85㎡ 이하의 경우 가점제로 선발합니다.
거주지역별 청약 예치금 기준금액
거주 지역은 분양하고자 하는 아파트 주소가 아닌, 청약 신청자의 주민등록상 거주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서울, 부산 |
기타 광역시 |
기타 시, 군 |
|
85㎡ 이하 |
300만원 |
250만원 |
200만원 |
102㎡ 이하 |
600만원 |
400만원 |
300만원 |
135㎡ 이하 |
1000만원 |
700만원 |
400만원 |
모든 면적 |
1500만원 |
1000만원 |
500만원 |
청약 1순위 요건과 유리한 점수 얻는 꿀팁
청약통장을 얼마나 오래 납입했는지, 총 납입금액이 얼마인지가 점수에 큰 영향을 줍니다.
청약 1순위 요건 :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둘 다 적용
수도권 : 가입 후 최소 1년 경과, 최소 12회 납입
비수도권 : 가입 후 최소 6개월 경과, 최소 6회 납입
청약 과열지구 (투기과열지구, 조정지역) : 청약 가입기간 24개월 이상, 납입 횟수 24회 이상
꿀팁 1
성인 이전에 납입한 회차는 24회까지만 인정되므로 최대한 빨리 가입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만 17세에 가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꿀팁 2
청약 통장을 만들고 나서 미납한 상황이 생기면 은행에 가서 밀린 회차의 금액을 한 번에 넣을 수 있고,
선입금도 가능합니다.
글을 마치며
이상으로 돈무새 롱찌의 '주택총약종합저축 1순위 조건 및 예치금 기준금액 정리'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재테크와 부동산에 관심있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 도움이 되는 포스팅을 꾸준히 올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타이탄의 도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청약 미납회차 한번에 납입하기 (feat. 비대면) (0) | 2021.03.23 |
---|